4주차 개발일지

2022. 3. 10. 00:31카테고리 없음

서버리스: 서버를 대신 만들어 놓고 필요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서비스

-> 데이터 생성 및 조회 및 삭제/수정

-> 파이어베이스가 이 중 하나

 

앱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보내는 대화를 하기 위해선?

-> 서버가 정한 규칙에 따라 대화 요청(request)을 해야 함

-> 정한 규칙에 따라 요청을 하지 않으면 응답(response)이 오지 않음

 

*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: 서버 쪽에서 정한 규칙

-> 규칙의 형태: 서버가 제공하는 도메인 or 서버가 만든 함수를 이용

 

서버가 앱에 데이터를 줄 땐 JSON 형태로 데이터 전달

-> JSON 형태: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복합 구조

 

리액트 네이티브에 주로 데이터를 준비하는 시점

-> 앱 화면이 그려진 다음

-> 앱에서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른 후

 

API를 통해 날씨 데이터를 가져오는 순서

-> 현재 위치(좌표) 데이터 필요, 가져오기

-> 위치 데이터를 통해 현재 위치 날씨 데이터 가져오기

 

try/catch: API를 사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에러 처리 방지 코드-> try{}엔 API 요청 같은 작업 코드를, catch{}엔 에러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코드 작성

 

async/await: 함수 실행 순서를 정해줌

 

console.log - locationData: 위치 좌표 들어있음

 

리얼타임 데이터베이스: 리스트와 딕셔너리 구조, 즉 JSON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-> 파이어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함수들을 이용하기만 하면 데이터 저장 및 수정 및 삭제 가능

 

큰 데이터들이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면 충분히 무거워질 수 있음-> idx 번호만 넘겨서 필요한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그때그때 오도록 함